확률과 확률분포
확률사건 A가 발생할 확률 P(A)는 랜덤한 결과가 나오는 실험을 무한히 많이 수행했을 때 사건 A가 발생하는 비율로 불확실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활용되는 것이다. 표본공간이란(S) 랜덤한 결과가 나오는 실험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결과를 모아 놓은 집합으로 P(S)로 표현하며, 주사위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수의 경우 {1, 2, 3, 4, 5,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사건이란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으로 주사위를 던졌을 대 짝수가 나오는 확률 {2, 4, 6} 등을 의미한다. 사건 A와 사건 B가 둘다 일어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교집합은 0이고, A와 B는 배반사건이라고 한다. A의 여사건은 A가 일어나지 않는 사건을 의미한다. 조건부 확률은 사건 A가 일어났다는 조건 하에 사건 B가 일어날 ..
2024.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