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5 [ 파이썬컴퓨팅 ] 변수와 print문 컴퓨터와 메모리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변수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 타입 파악기본적인 변수의 종류 학습 (숫자형, 문자열형)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할당문과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출력문 학습 1. 변수 1) 컴퓨터의 원리 튜링 머신이란 현대 컴퓨터의 원형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명령어들의 집합(instruction set)과 무한한 길이의 테이프(tape)로 구성된 것이다. 명령어 집합은 헤드(head)를 이동해가며 테이프에 기호를 쓰거나 읽으며, 테이프는 작은 셀로 구분된다. 현대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서 실행한다. 즉 튜링 머신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CPU와 memory의 조합을 처음으로 제안하고, 메모리는 주소를 가진 무한한 길이의 테이프 형.. 2024. 9. 1. [ 파이썬컴퓨팅 ] 컴퓨팅 사고 현실에서의 프로그램 vs 코딩을 통한 프로그램 차이 파악프로그래밍의 기반이 되는 컴퓨팅 사고 개념 이해프로그램의 구조인 순차 구조, 선택 구조, 반복 구조 학습 1.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 현실의 프로그램은 전체 과정을 여러 개의 작은 과정으로 분할하고, 작은 과정의 순서가 명확하게 정해져있으며, 각각의 과정은 구체적이고 다른 해석의 여지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컴퓨터,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의 공통점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는 점인데, 하고 싶은 일을 지원해주는 소프트웨어가 없다면 프로그래밍을 통해 직접 개발을 할 수 있다. 실제로 스마트폰 초창기 서울시 시내버스 정보 앱을 만들어 인기를 끌었던 적이 있음 2. 컴퓨팅 사고컴퓨팅 사고는 컴퓨터를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논리 체계로 고전적인 사고에 반.. 2024. 8. 31. [ 파이썬컴퓨팅 ] 파이썬 소개와 환경 설정 1. 파이썬의 발전 과정 네덜란드에서 태어난 Guido Van Rossum이 개인 프로젝트로 개발한 것으로 1991년에 오픈 소스 형태로 공개하였다. 파이썬 1.0은 1994년 개발되었으며, 야후에서 웹 메일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당시 야후는 긴급 웹 메일 서비스 개발이 필요했는데, 파이썬은 타 언어 대비 아주 빠르게 개발할 수 있었기에 파이썬으로 개발되었다고 한다. 2000년대에 개발된 파이썬 2.0은 가비지 콜렉션 시스템을 개선했고 유니코드 지원 서비스를 갖추었으며, Python Software Foundation이 설립되어 주요 라이브러리가 개발되었다. 파이썬 3.0은 2008년에 발표되었으며 개발자 커뮤니티와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증가로 다양한 라이브러리들이 등장하며 대중적인 인기.. 2024. 8. 31. 텍스트 빅데이터 (2) - 단어의 표현과 언어 모형 1. 단어의 표현 방법 컴퓨터는 자연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어를 숫자로 변경하여 표현함으로써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주요 단어 여부에 대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연자가 진행한 연설 중에 특정 단어가 계속 반복되는 경우, 해당 단어가 강연의 주제어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는 것이다. 1) 단어가방모형Bag of words / 단어가방모형은 전통적인 텍스트 모형으로 아주 단순한 모형이다. 이는 단어의 순서에 대한 고려 없이 빈도만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빈도에 따라 단어가 얼마나 중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어가방모형을 만들고자 한다면, 특정 문서에 있는 전체 단어의 리스트를 만들고 해당 단어가 몇 번 사용되었는지 숫자를 세면 된다. [ 단어가방모형 예시 ] The B.. 2024. 8. 31. 빅데이터의 개요 (2) - 데이터 분석과 데이터 과학자 1. 데이터 분석20세기에는 표본조사와 실험계획법의 발달로 양질의 데이터를 축적하게 되었다.표본조사란 모집단에서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여, 해당 모집단의 특성값을 추측하는 것으로 여론조사, 국가 통계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실험계획법은 피셔가 제안한 방법으로 실험의 실시를 통해 데이터 변화 요소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신약 계발이나 품질관리 등이 그 예이다.즉 양질의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 모형을 만들고, 변수 간 인과관계를 도출하여 현상을 설명하였으며, 이는 20세기의 발전을 이룬 핵심 인프라로 작용했다.통계학이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 그 자체이며, 모집단 가정, 양질의 데이터, 공정한 방법론을 통해 전체를 가장 그럴듯하게 추정하는 것이다.하지만 21세기에는 빅데이터 시대가 열렸으며, 통계 모.. 2024. 8.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