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와 빅데이터

AI 스피커의 발전, SK 누구에서부터 삼성 빅스비에 이르기까지

by MumMummi 2024. 9. 4.

AI, 인공지능
AI, 인공지능

정의

AI 스피커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입니다. 이 기기는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이해하고 실행합니다. AI 스피커는 단순히 음악을 재생하는 스피커에서 벗어나, 스마트 홈의 허브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날씨 어때?"라고 물으면, 인터넷에서 최신 날씨 정보를 검색하여 음성으로 알려줍니다. 또한, 일정 관리, 알람 설정, 스마트 가전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일상 생활의 편의성을 높입니다. 이러한 AI 스피커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이며, 초연결 사회를 구현하는 중요한 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국내 AI 스피커의 발전

대한민국에서 AI 스피커의 역사는 2016년 SK텔레콤이 '누구(NUGU)'를 출시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네이버는 ‘클로바(Clova)’, 카카오는 ‘카카오미니(Kakao Mini)’, KT는 '기가지니(Giga Genie)'를 출시하며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습니다. '누구’는 음성 인식을 통해 음악 재생, 정보 검색, 스마트 홈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초기 시장을 선도했습니다. 네이버의 '클로바’는 네이버의 검색 엔진과 연동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카카오의 '카카오미니’는 카카오톡과 연동된 메시지 전송 기능을 특징으로 합니다. KT의 '기가지니’는 IPTV와 연동되어 TV 제어 기능을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AI 스피커들은 각기 다른 특성과 기능을 바탕으로 시장을 형성해 왔습니다.  

 

글로벌 브랜드 및 제품

글로벌 시장에서는 아마존의 ‘알렉사(Alexa)’, 구글의 ‘구글 네스트(Google Nest)’, 애플의 ‘홈팟(HomePod)’ 등이 주요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알렉사’는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기능과 높은 호환성을 자랑합니다. '알렉사’는 음악 재생, 정보 검색, 스마트 홈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아마존의 쇼핑 서비스와 연동되어 음성 쇼핑도 가능합니다. 구글의 '구글 네스트’는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하여 구글의 검색 엔진과 연동된 강력한 정보 제공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애플의 '홈팟’은 애플의 생태계와 연동되어 아이폰, 아이패드 등과의 호환성이 뛰어나며, 고음질의 음악 재생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외에도 삼성의 빅스비,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 등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들이 AI 스피커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내장 기능

스마트폰은 AI 스피커의 기능을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의 ‘시리(Siri)’, 구글의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 삼성의 ‘빅스비(Bixby)’ 등이 있습니다. 이들 AI 비서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일 아침 7시에 알람 설정해줘"라고 말하면, AI 비서는 자동으로 알람을 설정해줍니다. 또한, 음악 재생, 날씨 정보 제공, 일정 관리,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은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시장 규모 및 전망

AI 스피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0년 기준으로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8.5조 원에 달했으며, 2025년에는 약 19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북미 지역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비중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AI 스피커는 스마트 홈의 핵심 기기로 자리잡고 있으며, 음성 인식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단순한 음성 비서 역할을 넘어, 감성 인식,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등 더욱 고도화된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